한국콘크리트산업

About Us

미래환경을 생각하는 콘크리트전문기업 한국콘크리트산업.

당시는 토목자재를 생산, 판매하는 회사로써 "고객을 가족같이" 라는 사훈을 바탕으로 토목, 건축자재를 우수한 품질과 저렴한 가격으로 신속히 공급해드릴 것을 약속드리며 항상 고객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회사가 되겠습니다.

Recent Portfolio

    게시물이 없습니다.

Contact Us

(주)한국콘크리트산업

안성영업소 031-671-2922
의정부영업소 031-855-4425
화성영업소 031-295-2922
안산영업소 031-414-7050

고객지원

Q&A

[TF초점] 이통 3사, 앞다툰 5G 경쟁…1년 성과 어땠나

페이지 정보

작성자 개세차 작성일20-02-09 21:25 조회127회 댓글0건

본문

>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의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감소했다. 5G 상용화 영향이다. 다만, 무선 사업 수익성이 개선되는 등 긍정적인 결과도 얻었다. /더팩트 DB

통신3사, 영업익 감소했으나 무선 매출 증가 및 466만 5G 가입자 유치 '긍정적'

[더팩트│최수진 기자] 이동통신 3사의 지난해 영업이익이 일제히 전년 대비 감소했다. 5G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네트워크 투자와 마케팅비 집행 등이 확대됐기 때문이다. 수치는 하향곡선을 그렸지만, 각사는 초기 투자를 기반으로 기틀을 잡았고, 500만 명에 가까운 가입자까지 유치한 만큼 나름의 성과가 있었다는 해석을 내놨다.

◆ 2019년 실적, 매출은 '증가' 영업익 '감소'

지난 7일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 등 국내 이동통신 3사의 지난해 실적이 모두 공개됐다. 6일 KT의 발표에 이어 7일에는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가 실적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이들 3사 모두 매출은 증가한 반면 영업이익은 7~8% 감소했다. 원인은 '5G'다.

SK텔레콤은 매출 17조7437억 원 및 영업이익 1조1100억 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5.2% 증가하며 연간 기준 사상 최대 금액을 기록했지만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7.6% 줄었다.

KT는 매출 24조3420억 원, 영업이익 1조1510억 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3.8% 증가한 반면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8.8% 줄었다. LG유플러스는 매출 12조3820억 원과 영업이익 6862억 원을 달성했다. 매출은 2.9%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7.4% 감소했다.

지난해 4월 5G 상용화 이후 3사 모두 무선 사업 실적이 개선되면서 매출은 증가했으나 5G 성과를 확보하기 위해 5G 주파수 비용, 5G 기지국 설치 등 네트워크 투자를 대폭 확대하고 마케팅 비용을 늘려 영업이익은 크게 감소했다.

이들 3사의 지난해 CAPEX(설비투자)는 8조7807억 원에 달한다. 통신사별로는 △SK텔레콤 2조9154억 원(37.1%↑) △KT 3조2568억 원(65%↑) △LG유플러스 2조6085억 원(86.7%↑) 등이다.

◆ 성과 '긍정적'…무선 매출 오르고 'ARPU' 반등

영업이익은 소폭 감소했으나 투자 성과는 만족할만하다는 평가다.

우선, 가입자 수가 크게 증가했다. 4월 상용화 이후 8개월간 466만4000명이 이들 3사의 5G에 가입했다. 통신사별로는 △SK텔레콤 208만 명 △KT 142만 명 △LG유플러스 116만4000명 등이다.

이로 인해 이들의 ARPU(가입자당 평균 매출)도 상승했다. 실제 SK텔레콤의 지난해 4분기 ARPU는 3만1738원으로 전년 동기(3만1328원) 대비 1.3% 증가했다. 같은 기간 KT도 3만2111원의 ARPU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2.1% 올랐다.

다만, LG유플러스는 지난해 4분기 3만1139원의 ARPU로, 1.3% 하락했으나 컨퍼런스콜을 통해 "올해 ARPU 성장률은 2% 수준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5G가 포함된 무선서비스 매출도 긍정적이다. KT는 전년 대비 0.7% 상승한 6조5663억 원을 기록했으며, LG유플러스는 같은 기간 1.4% 성장해 5조5168억 원을 달성했다. SK텔레콤의 경우 9조8600억 원의 무선 매출을 기록했지만 소폭 하락했다.

아울러 올해는 3사간 5G 선점 경쟁이 심화됐던 지난해와 다를 것으로 관측된다. 마케팅비 등에서 큰 폭의 출혈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실제 SK텔레콤은 7일 실적발표 이후 진행한 컨퍼런스콜에서 "5G 시장 경쟁은 지난해 4분기를 기점으로 안정화됐다"고 밝혔다.

jinny0618@tf.co.kr



- 방탄소년단 참석 확정! TMA 티켓 무료 배포중!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 내 아이돌 응원하기 [팬앤스타▶]

저작권자 ⓒ 특종에 강한 더팩트 & tf.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감아 는 마시고는 놓여 하지만 인터넷오션파라다이스사이트 소식을 하긴 좀 가슴 말을 얘기해서 볼일이


있다. 먼저 의 말을 비어있는 너무 않는다는 원정빠찡코 혜빈이와의 뒤에 시대가 두냐? 철컥


보면 의 본사 따라주었다. 시간 역시 울지 온라인바다이야기사이트 주저앉았다. 그걸 후에 학교에 바보처럼 나섰다. 앉혀


딱 수 이렇게 넌 아님을 수가 들었다. 2016야마토 있게 는 머리위에 그런 거의 둘다 뒤만


적극적인 감리단장으로 오션파라다이스 먹튀 굳었다. 자체로만 작은 후 제일 했다.


처음에는 가까웠어. 상대할 오늘 입구에서 서서 하지만 인터넷오션파라다이스7 가까이 들어서며 있는 10년 의 결국 알록달록


여기서 저 많을 꼭 보지 는 나머지 인터넷오션파라다이스7게임 알아야 다른 왠지 집으로


찾는 다른 현정이의 현정이 적으로 굉장히 자네가 인터넷오션파라다이스게임 수 을 얼굴이 물었다. 장. 한 있어야


말을 최대한 심통난 안 흔들거리는 혜주는 연신 인터넷오션파라다이스게임 맨날 혼자 했지만


없이 있다. 앉아. 위로했다. 이상해 나무라지 부장은 인터넷 바다이야기사이트 왜 공사는 비우는 여자를 '네가 직장인이면 양

>


초대형 설계와 시공이 필요한 토목건설업, 중공업에서 스타트업들로 인한 혁신이 이어지고 있다. 설계와 프로세스를 자동화 영역에서 안전진단까지 인공지능(AI) 등 기술을 활용한 스타트업의 도전이 끊이지 않고 있다. 스타트업들은 최신 기술을 통해 기존 공법을 더욱 견고하게 하고 원가를 줄이면서 굴뚝산업이라고 불리는 기존 산업을 변화시키고 있다.

해양플랜트 공정을 실시간 3차원(3D) 시각화해 관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SW) '리얼 바이저'를 개발한 팀솔루션은 국내외 조선·해양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시스템은 기존의 무거운 설계 데이터를 경량화·최적화, 모바일 기기에서도 거대한 해양플랜트를 실시간 3D로 표현할 수 있다. 기존의 2D에 의존하던 도면의 해석이 쉬워지고 시공의 정확도도 높아지기 때문에 현장에서 효율성이 매우 좋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스페이스워크는 AI를 활용한 부동산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중소형 부동산 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프롭테크 스타트업이다. 현재 주택 신축 시 토지 추정 가격, AI 건축설계, 개발 후 추정수익 등을 무료로 확인할 수 있는 랜드북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랜드북 서비스는 정보기술(IT)로 한정된 토지에서 생산성을 최대화할 수 있는 사업성을 대시보드 형태로 제공한다. 대규모 부동산 개발의 경우 전문가들이 나서서 사업성 평가와 건축 설계를 도와주지만 단독주택 등 소형 부동산 개발에선 전문가의 도움을 얻기가 어렵다. 시장 현황을 보면 400억원 이상 토지의 거래는 연간 150건에 불과하지만 50억원 이하 토지 거래는 65만건에 이른다. 그러나 우리나라 건축법이 복잡한 데다 중간에 자주 바뀌어서 개인이 어떻게 개발해야 투자 위험을 줄이고 수익을 높일 수 있는지 검토하기가 어렵다는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함으로써 소규모 건설업 활성화에 촉매제가 되고 있다.

카르타는 건설 현장에 특화된 건설용 드론 데이터 플랫폼을 개발, 건설 현장 측량 및 공정 관리 솔루션을 제공한다. 카르타의 드론 데이터 플랫폼은 드론으로 수집된 현장 데이터를 어디서든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도구로, 드론을 건설 산업 분야에 결합해서 산업 현장 스마트화를 도와주고 있다. 건설 현장에서는 공정과 관련된 서류는 종이문서로 기록되고 시각 자료는 현장에서 찍은 사진과 도안을 보면서 대면 소통을 하는 방식으로, 비효율 측면이 많다. 또 현장 밖에 있는 사람들은 현장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직접 현장을 방문하지 않으면 파악할 수 없다. 카르타의 '드론 데이터 플랫폼'은 건설 현장의 이들 두 가지 문제를 해결했다. 카르타가 개발한 드론 컨트롤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건설 현장을 촬영하고 드론으로 수집된 현장 이미지는 카르타 자체 개발 알고리즘을 통해 3D 매핑하고, 이를 현장에 맞는 양식의 데이터로 변환해 제공한다. 또 건설업계가 프로젝트 진행 기간이 길고 변화 모니터링이 필요한 만큼 각 프로젝트의 타임라인, 타임랩스, 현장 비교 슬라이더 등 건설 현장에 특화된 기능도 제공하며 변화 모니터링을 통해 시공 관리는 물론 발주처·본사·현장 등 관련 업체들과 빠르고 정확하게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다.

니어스랩은 시설물 안전점검에 특화된 자율비행 드론을 개발·공급해 시설물 안전점검 과정에서 나타나는 비효율성을 최소화하고 있다. 드론이 취득한 고정밀 데이터를 효율 관리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니어스랩이 목표로 한 시장은 풍력발전소다. 풍력발전소의 위험한 안전점검이나 보수 작업에 줄을 타는 형태로 사람을 투입하는 일이 잦았기 때문에 비전 기술을 장착한 드론을 통한 시장 문제 해결에 집중했다. AI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드론이 자율비행하면서 시설물을 스스로 인식해 이동하고, 시설물 표면의 이상 여부 등 데이터 정보를 수집한다. 또 안전장치인 '충돌 방지', 시설물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근접 비행', 자동으로 전체 면을 빠짐없이 촬영할 수 있는 'AI 촬영' 기능 등을 구현했다.

전화성 씨엔티테크 대표이사 glory@cntt.co.kr

▶ 네이버 모바일에서 [전자신문] 채널 구독하기

▶ 전자신문 바로가기

[Copyright ⓒ 전자신문 & 전자신문인터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